위키백과:샌프란시스코
참고자료
1.MBC 이제는 말할수가 있다 064회 강요된 화해,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2003.03.02)
동영상보기 http://v.youku.com/v_show/id_XMzU5NzUzNjM2.html
2. 샌프란시스코 조약, 독도는 한국영토
주요 내용
1.일본은 한반도의 독립을 승인하고, 타이완과 펑후 제도(澎湖諸島), 지시마 열도(千島列島, 쿠릴 열도), 사할린에 대한 일체의 권리를 포기한다.
2.남태평양 제도의 구 위임통치지역은 미국이 신탁통치하며, 오키나와와 오가사와라 제도는 미국의 신탁통치 예정지역으로 삼는다.
3.일본은 일체의 국외 자산과 조약체결국에 대한 모든 청구권을 포기한다.
상세
설명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대일강화조약)은 제2차 세계대전을 종식시키기 위해 일본과 연합국 48개국이 맺은 평화조약이다.
전문(前文), 제1장 평화상태의 회복(제1조), 제2장 영역(제2∼4조), 제3장 안전(제5∼6조), 제4장 정치 및 경제(제7∼13조), 제5장 청구권 및 재산(제14∼21조), 제6장 분쟁의 해결(제22조), 제7장 최종 조항(제23∼27조)으로 되어 있다.
그 중 중요한 것은 제3장의 안전조항으로서, 미·일안전보장조약의 체결을 위한 복선을 그어 놓은 것이다. 즉, 국제정치의 입장에서 일본을 반공진영에 편입시키는 성격을 띠었다. 이는 미국의 정치적 의도가 드러난 것으로, 미국이 이 회의를 주도하면서 상식선을 넘는 관대한 정책을 일본에 베풀었다는 지적이 있다.
또한 한국은 일본의 전승국에 대한 전쟁배상을 위한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 참가하지 못함으로써 전시 ‘손해 및 고통’에 대한 배상청구권을 향유할 수 없게 됐다.
한편 일본은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에 독도가 한국 땅이라는 명문 규정이 없다는 이유를 독도에 대한 일본 영유권 주장의 근거로 내세우고 있다.
조약의 한계이 조약은 전쟁 피해국인 한국과 중국의 참여가 배제되었다는 근본적인 결함이 있다. 중국의 대표권에 대해서는 미국과 영국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아 중화민국도, 중화인민공화국도 회의에 초청받지 못했고, 소련은 참가했지만 조약에 서명하지는 않았다
'◈ 사진 동영상 영화 ◈ > ▷역사 자료 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장준하 (0) | 2018.03.31 |
---|---|
[스크랩] MBC 이제는 말할수 있다 한국의진보 1 ~3 (0) | 2018.03.31 |
[스크랩] 조봉암 (0) | 2018.03.31 |
[스크랩] MBC 이제는 말할 수 있다 분단의기원 (0) | 2018.03.31 |
[스크랩] 김재규 보통군법회의 최후진술 과 비공개진술 (1~4) (0) | 2018.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