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임시회를 가동하며 정상화에 나서는 모양새지만 일부 전력 분야 관심 법안들의 처리는 여전히 먼 걸음이다. 산업위는 무쟁점 법안 위주로 논의함으로써 그동안 국회 파행 탓에 쌓인 숙제들을 빠르게 해치운다는 복안이다.
3일 복수의 국회 관계자에 따르면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는 최근 전체회의를 열고 ‘제369회 국회 임시회’ 중 산업위 일정 등을 논의했다.
여야 산업위 의원들은 그동안 국회 파행 사태로 미뤄진 법안들에 대한 처리에 속도를 낸다는 데 우선 합의했다. 6월 임시국회 중 최대한 법안처리 성과를 내기 위해 비쟁점 법안들부터 논의할 계획이다.
이번 임시회 기간 중에는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과 에너지법 일부개정법률안,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등 여야 간 합의를 이끌어낼 가능성이 높은 법안 위주로 처리할 예정이다.
◈ 허공의 관심사 ◈/▷전기·소방· 통신감리
국회 정상화 됐지만…전력 분야 관심 법안은 ‘먼 걸음’
허 공
2019. 8. 8. 06:32
국회 정상화 됐지만…전력 분야 관심 법안은 ‘먼 걸음’
등록 : 2019-07-04
산업부 중점 처리 법안 등 주요 법안 상정조차 못해
여야 산업위 위원들 비쟁점 법안 우선 논의키로 가닥
여야 산업위 위원들 비쟁점 법안 우선 논의키로 가닥
|
전력산업계 주요 관심사였던 전기안전관리법 제정안과 함께 전력기술관리법, 신재생에너지 관련 법안 등의 상정은 후순위로 미뤄졌다. 다음 회의에서나 논의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
전기안전관리법 제정안과 포항 지진 특별법 등 산업통상자원부의 중점 처리 법안들 대부분이 이번 회의에서는 논의대상에 포함되지 못했다고 국회 한 관계자는 전했다.
전기안전관리법과 전력기술관리법의 경우 전력산업 유관기관 사이의 의견차가 일부 발생하고 있다는 게 국회 한 관계자의 설명이다. 의견 조율을 위한 시간이 필요한 만큼 이번 임시회 기간 중에는 논의가 어려울 것으로 이 관계자는 내다봤다.
신재생에너지 관련 법안 역시 정부의 에너지 정책을 두고 정당별로 의견이 일치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특히 이번 임시회 기간 중 전기안전관리법 제정안 논의가 불발에 그치면서 해당 법안의 연내 제정 역시 불확실하다는 게 업계 관측이다. 다음 회의에 상정, 통과가 되더라도 업계에 이견이 있는 제정안인 만큼 공청회 등 절차를 거쳐 의견을 모아야 하기 때문이다.
전기안전관리법 제정안에 전기안전관리와 관련된 현안을 해소할 수 있는 대책이 다양하게 담긴 만큼 업계는 법안 처리가 빠르게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김성환 의원실 관계자는 “다음 회의 때 반드시 전기안전관리법 제정안을 상정할 계획”이라며 “여야 합의가 어려울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 업계 의견을 빠르게 모아 이번 회기 중에는 제정안을 통과시키는 게 목표”라고 전했다.
전기안전관리법 제정안과 포항 지진 특별법 등 산업통상자원부의 중점 처리 법안들 대부분이 이번 회의에서는 논의대상에 포함되지 못했다고 국회 한 관계자는 전했다.
전기안전관리법과 전력기술관리법의 경우 전력산업 유관기관 사이의 의견차가 일부 발생하고 있다는 게 국회 한 관계자의 설명이다. 의견 조율을 위한 시간이 필요한 만큼 이번 임시회 기간 중에는 논의가 어려울 것으로 이 관계자는 내다봤다.
신재생에너지 관련 법안 역시 정부의 에너지 정책을 두고 정당별로 의견이 일치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특히 이번 임시회 기간 중 전기안전관리법 제정안 논의가 불발에 그치면서 해당 법안의 연내 제정 역시 불확실하다는 게 업계 관측이다. 다음 회의에 상정, 통과가 되더라도 업계에 이견이 있는 제정안인 만큼 공청회 등 절차를 거쳐 의견을 모아야 하기 때문이다.
전기안전관리법 제정안에 전기안전관리와 관련된 현안을 해소할 수 있는 대책이 다양하게 담긴 만큼 업계는 법안 처리가 빠르게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김성환 의원실 관계자는 “다음 회의 때 반드시 전기안전관리법 제정안을 상정할 계획”이라며 “여야 합의가 어려울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 업계 의견을 빠르게 모아 이번 회기 중에는 제정안을 통과시키는 게 목표”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