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야외활동 벌 쏘임 피하려면 `밝은 옷` 입어라?
만화에서 '벌'은 이렇게 귀여운 모습으로 등장하지만,
출처 : google.com

(서울=뉴스1) 이재상 기자 = 역대급 폭염 속에 벌떼가 급증하면서 벌에 쏘이는 환자가 늘고 있다. 올해 벌에 쏘여 2명이 사망하면서 소방청은 오는 10월까지 야외활동 때 말벌공격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소방청에 따르면 7월 한 달간 벌집제거를 위한 출동건수가 3만5757건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3만4735건)에 비해 2.9% 늘어난 수치
뉴스1현실의 벌은 그렇지 않죠.
최근 개체수가 급증한 말벌에 자칫 잘못 쏘였다가는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폭염으로 말벌의 활동이 증가하면서 소방청이 벌 쏘임 주의보를 발령했습니다. 소방청은 지난 4년 동안, 119 구급대가 벌 쏘임으로 이송한 사람은 해마다 평균 7천7백 명에 이른다고 밝혔습니다. 말벌은 7월부터 일벌 개체 수가 급격히 증가해 8월에서 10월에 활동이 가장 왕성하기 때문에 이 기간 벌집 제거 출동 90%이상이 집중된다고 소방청은 밝혔습니
KBS특히 말벌은 폭염에 번식력이 더욱 강한데요.
7월부터 일벌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
8~10월 사이 활동이 가장 왕성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지난 7월에만 벌 쏘임으로 두 명이 사망했다고 하는 등 벌 때문에 일어나는 사고도 많아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데요,
특히 등산, 캠핑족들이 늘어나는 늦여름, 초가을은 이런 벌쏘임 사고의 집중 발생기간이기도 합니다.

광주 서부소방서 119생활안전대원이 지난달 30일 지역 공원에서 말벌집을 제거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이데일리 송이라 기자] 기록적 폭염으로 벌의 활동이 왕성해지면서 벌 쏘임 사고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행정안전부 등 관계부처는 16일 올해 7월 벌집제거 건수가 지난해보다 12% 가량 증가했다며 벌 쏘임에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소방청에 따르면
이데일리이런 말벌, 무슨 생명까지 위협하냐고 하시겠지만 문제는 '과민성 쇼크'입니다. 평소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경우 과민성 쇼크에 걸리기 쉬운데요, 이는 심하게는 수십분 이내에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다고 하니 특별히 조심해야겠어요.
관련기사 : 이데일리 · 무더위에 말벌 기승.."야외활동시 밝은색 옷·모자 착용해야"알레르기성 결막염, 비염, 음식 알레르기, 약물 알레르기, 아토피 질환 등의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경우엔 정상인보다 알레르기가 발생할 확률이 3~5배 높다고 합니다. 벌에 쏘이지 않게 각별히 신경 쓰셔야 겠어요.
출처 : shutterstock만일 벌에 쏘였다면 피부에 벌침이 남아있는지 확인하고 조심스럽게 제거해 독액이 체내에 흡수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이때 벌침은 신용카드 등 평평한 물체로 표피를 긁으며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 shutterstock
[뉴스리뷰] [앵커] 추석 전에 미리미리 성묘나 벌초 다녀오는 분들 많으실 것입니다. 그러다보니 풀 숲에 숨어 있는 벌이나 뱀의 공격을 받는 환자도 덩달아 늘어나는데요. 안전을 위해서 어떤 대비를 해야 하는지 이준흠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기자] 벌 쏘임이나 뱀에 물리는 사고는 전체의 60~70%가 이맘때 발생합니다. 성묘나 벌초하러 나설 때 주의해
연합뉴스TV또한 쏘인 부위를 깨끗한 물로 씻고 얼음주머니 등으로 차갑게 한 후 즉시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관련기사 : 연합뉴스TV · 벌·뱀·진드기 많은 성묫길..안전 필수품은?또 쏘인 부위를 심장보다 낮게 하면 독소가 심장으로 가는 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합니다.
출처 : shutterstock아무래도 벌을 직접적으로 쏘이지 않도록 주의해야겠죠? 살이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의상은 최대한 피해주시고 긴바지, 긴소매등의 의복을 착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 shutterstock향수나 스킨로션 등의 진한 향기는 벌을 유인합니다. 그렇기에 외부 활동을 나갈 때엔 사용하지 않는 편이 좋습니다. 무취의 로션 정도와 선크림만 발라주세요.
출처 : shutterstock모든 장신구에 해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단, 금색 목걸이나 팔찌 등이 햇빛에 반사된다면 벌이 모이므로 주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 shutterstock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실시한 말벌의 공격성향 실험결과, 밝고 화려한 색상에 더 반응을 할 줄 알았던 당초 예측과는 달리 검은색이나 갈색 등 어두운색에 더 강한 공격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밝은 옷을 입는 것이 더 안전하겠네요!
더불어 몸에 밀착되지 않고 바람에 팔랑거리는 의복도 벌을 유인하는 요소니 이런 것들이 있으시다면 피해주세요.
출처 : shutterstock마지막으로 당분이 많은 음식물도 벌을 유인하는 요소입니다. 야외활동을 할 때 지나치게 단 음식들을 섭취할 때에는 주의를 해주세요!
[리얼푸드=김태영 에디터]